이번 개정 3판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각 장의 순서를 일부 바꾸고, 중복되는 내용을 통합하거나 임상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부분은 삭제·축소하여 총 6부 21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촬영 부분의 다양한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최신 정보와 지견을 담고자 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그림, 요약, 표, 모식도, 복습문제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또한 언제든지 한글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며, 영어 용어를 병기하여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거나국제학술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본 실습서는 저자가 2017년에 첫 출간한 『구강해부학, 김희진 외, 고문사』을 기반으로 하여 집필하였으며,책의 구성과 해부 그림 또한 동일하게 정리하여 이론 및 실습을 병행하여 공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교재는 2002년 구강보건교육학의 올바른 방향제시와 통일성의 부재에 뜻을 같이 하는 교수들이교재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초판을 발행하게 되었고, 이것을 디딤돌로 활용하면서 개정 5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본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컴 기법을 활용한 직무분석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예방처치 10가지 핵심 능력단위요소(task)들을 도출하였다.둘째, 각각의 능력단위요소를 개요와 목표, 학습경험 1, 관계지식, 학습경험 1 자율평가/모범답안, 학습경험 2, 학습경험 2 자율평가, 수행평가지의 순서로 구성하여 체계적인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이러한 구성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의 노튼(Robert E. Norton) 교수가 제시한 능력중심 교육모형에 기반한 것으로,능력중심 교육모형은 학습자들이 사회가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셋째, 부록으로 구강건강관리의 실제를 수록하였다.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념 및 과정, 적용 예시와 함께학생들의 상호실습 결과를 실제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넷째, 발전된 예방치학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기기와 재료의 사용법, 검사 및 평가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본서는 촬영된 필름 상태를 판독하고 촬영 소견을 실습자가 직접 작성해 봄으로써 보다효율적으로 관련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금번 개정 ‘실습보고서’에서는촬영과정과 현상과정을 구분하여 실책에 대한 원인과 보상방법을 연결성 있게 서술하도록 함으로써추후 촬영에서 실습자가 보다 능동적으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또한 해부학적 구조의 관심층을 다른 구조의 중첩 없이 관찰할 수 있도록 3D 관련 내용도 첨부하였다.
이 책을 저술할 때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진료 현장에서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참고할 수 있는 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본 수정증보판에서는 초판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하였으며, 본문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을 새롭게 정리하고 교체하였다.
이 책은 2부로 구성되었으며, 제1부에서는 인체생리학을, 제2부에서는 구강생리학을 다루었다.제한된 시간에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생리학의 모든 내용을 자세히 다루려고 하지 않고,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편집하고자 노력하였다.따라서 핵심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개정판에서는 초판에서 만들어진 전체적인 구성을 유지하면서,초판에서 지적되었던 부분들을 수정하고 미흡한 부분을 수정 보완하였다.또한 치과감염관리 표준정책매뉴얼과 용어를 통일시키고 교과서 전체에 대해서도 통일된 용어를 사용하였으며,전체 내용의 일관성을 위해 여러 번의 검토를 거쳤다.또한 2018년 이후 COVID-19 환경에서 수정, 제시된 각종 공식 지침들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