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구강보건학의 개념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우리나라 공중구강보건의 발전과정,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 구강보건진료제도와 구강보건행정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이번 수정증보판은 지난 5판의 내용을 수정 검토하여 오류를 바로잡고, 표나 그림 설정에 신경을 써 내용을 새롭게 보강함으로써 공중구강보건에 있어 실전 업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판은 담당 교수님이 자유롭게 자료를 선별하고, 변화하는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실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실습과 참고자료 부분을 과감히 삭제하였고, ‘문해력’이란 새로운 개념을 보강하였다.
지역사회 주민의 구강건강은 스스로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전문가들은 주민에게 적절한 구강건강 사업을 제공하여 실천하도록 하여야 한다.이 책은 그런 측면에서 독자를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하였다.첫째는 미래의 지역사회 활동 인력인 예비 치과위생사의 지도서이고,둘째는 현재 지역사회에서 주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치과위생사를 그 대상으로 한다.
본 개정판의 집필 방향은 최근 개정된 국민건강종합계획, 구강보건기본계획 등을 통한구강보건정책 흐름을 반영하고, 최신의 자료를 이용하여 미래지향적인 변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해야 한다는 점에 모두 공감하여 공중구강보건 영역에서 치과위생의 활동범위 및 치과위생사의 위치를 확인하고미래지향적인 치과위생사의 역할 및 사업 전개 등을 탐지하는 차원에서 진행하였다.
이 책은 치위생학과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관련 학과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공중보건 총론, 역학 및 질환관리, 환경보건, 보건사업관리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특히 이번 3판에서는 오래된 통계자료와 내용들을 과감히 삭제하고 최신 내용으로 대폭 수정 보완하였다.
본 교재는 2002년 구강보건교육학의 올바른 방향제시와 통일성의 부재에 뜻을 같이 하는 교수들이교재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초판을 발행하게 되었고, 이것을 디딤돌로 활용하면서 개정 5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구강보건교육, 구강보건교육 계획, 구강보건교육 활동, 구강보건교육 활동 평가의 총 4장으로 구성된 본 교재는 구강보건교육 실습교재를 통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반복적인 실습으로 현장에서 실제 적용,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책은 치과위생사를 위한 구강보건통계학으로 통계학이 어렵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가르치고,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집필된 책이다. 국가고시를 대비한 문제도 함께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은 기초통계학과 구강보건통계학을 R이라는 언어와 연합하여 만든 책으로,통계학이란 학문을 생소한 분위기에서 배우지 말라는 의미에서,‘치과’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치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이야기를 풀어냈다.따라서 ‘통계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